티스토리 뷰

목차



    근로장려금 신청, 반기 신청정기 신청 중 어떤 방법이 나에게 유리할까요?


    2024년 하반기 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반기 신청과 2024년 전체 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2025년 정기 신청, 두 가지 방법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나에게 맞는 신청 방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드립니다.

     

     

    👇  든든한 근로장려금, 나도 받을 수 있을까?  👇

     

     

    반기 신청 vs. 정기 신청: 주요 차이점 비교

    2024년 하반기 근로장려금 vs. 2025년 정기 신청2024년 하반기 근로장려금 vs. 2025년 정기 신청
    2024년 하반기 근로장려금 vs. 2025년 정기 신청

     

     

     

     

    구분 2024 하반기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 2025 근로장려금 정기 신청
    신청대상 2024년 하반기(7월~12월)에 근로소득만 있는 가구 2024년 전체 기간 동안 근로, 사업, 종교인 소득 등 모든 소득이 있는 가구
    소득기준 2024년 부부 합산 총소득 기준
    (단독: 2,200만 원, 홑벌이: 3,200만 원, 맞벌이: 3,800만 원)
    2024년 부부 합산 총소득 기준
    (단독: 2,200만 원, 홑벌이: 3,200만 원, 맞벌이: 3,800만 원)
    * 사업/종교인 소득 등 포함
    재산요건 2024년 6월 1일 기준 가구원 전체 재산 합계액 2.4억 원 미만
    신청기간 2025년 3월 1일 ~ 3월 17일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지급시기 2025년 6월 말 2025년 9월 말
    장점 빠른 지급 (6월 말)
    소득 파악 용이 (근로소득만 해당)
    모든 소득 유형 신청 가능
    자녀장려금 동시 신청 가능
    단점 근로소득 외 소득 있으면 신청 불가
    자녀장려금 별도 신청 불가 (자동 신청됨)
    지급 시기 늦음 (9월 말)
    자녀장려금 자동 신청 별도 신청

     

    어떤 신청 방법이 나에게 유리할까?

     

    ✅ 이런 분들께는 반기 신청을 추천합니다!

    • 2024년에 근로소득만 있었습니다.
    • 근로장려금을 최대한 빨리 받고 싶습니다.

    ✅ 이런 분들께는 정기 신청을 추천합니다!

    • 2024년에 근로소득 외에 사업소득, 종교인 소득 등 다른 소득도 있었습니다.
    • 자녀장려금도 함께 신청하고 싶습니다. (반기 신청 시 자동 신청되지만, 명시적으로 신청하고 싶다면)
    • 지급 시기가 조금 늦더라도 (9월 말) 한 번에 모든 소득을 기준으로 신청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추가 정보

     

     

     

     

    • 자동 신청 제도: 2024년 9월에 상반기 근로장려금을 신청했다면, 2024년 하반기 근로장려금도 자동으로 신청됩니다. (별도 신청 불필요)
    • 자녀장려금: 반기 신청 시 자녀장려금은 별도로 신청할 수 없지만, 자동으로 신청된 것으로 간주하여 6월에 함께 정산됩니다.
    • 맞벌이 가구 소득 기준: 2025년부터 맞벌이 가구의 총소득 기준이 4,400만 원으로 인상될 예정입니다.

     

    2024년 하반기 근로장려금 vs. 2025년 정기 신청
    2024년 하반기 근로장려금 vs. 2025년 정기 신청

     

    더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에서 확인하거나, 장려금 상담센터(1566-3636)로 문의하세요.

     

     

    2024년 하반기 근로장려금 vs. 2025년 정기 신청
    2024년 하반기 근로장려금 vs. 2025년 정기 신청

     

    반응형